우당탕탕 개발일지
[AWS] RDS와 EC2 연동 본문
RDS와 EC2를 연동하는 이유
서버 인스턴스(EC2)와 DB 인스턴스(RDS)를 분리하여 사용하기 위함이다
EC2 하나만 쓰게 되면 서버 내에 DB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렇게 하면 초보자도 쉽게 관리할 수 있고, AWS 클라우드 비용도 저렴하다.
하지만 고가용성 있는 서버를 구축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서버랑 DB를 분리하면 하나의 서버가 망가져도 DB가 손상되지 않는다.
서버를 새로 추가해도 문제되지 않는다.
접속자의 수에 따라 서버를 자유롭게 늘리거나 줄여도 되고, 이 과정에서 DB 손상이 없어서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EC2와 RDS 작동 방식

1.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낸다.
2. 로드밸런스가 사용자의 접속을 Server1, Server2, Server3에 분산시켜서 보낸다.
3. 사용하다가 서버 메모리가 꽉 차거나 제대로 동작 안하면 서버를 재시작하거나, 새로운 서버를 추가할 수 있다.(이는 서버 안에 DB가 없어서 가능)
참고
아마존 RDS의 개념과 RDS와 EC2 연동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RDS와 EC2를 연동해보도록 하겠습니다. RDS와 EC2를 연동하는 목적은 서버 인스턴스와 DB 인스턴스를 분리하여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AWS를 사용하는 핵심 이유이기도 할 것입
developer111.tistory.com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부트AWS] 로컬에서 RDS 접속하기 (0) | 2024.02.13 |
---|---|
[스프링부트AWS] RDS 운영환경에 맞는 파라미터 설정하기 (0) | 2024.02.01 |
[스프링부트AWS] RDS 인스턴스 생성하기 (1) | 202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