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당탕탕 개발일지
[스프링부트AWS] 로컬에서 RDS 접속하기 본문
💡RDS의 보안 그룹에 로컬PC의 IP 추가
..
로컬 PC에서 RDS로 접근하기 위해서 해당 PC의 IP를 추가해야 한다.
생성된 RDS의 세부정보 페이지에서 'VPC 보안 그룹' 이라고 적힌 부분을 보면 default(~~~~~~)라고 적혀있다.
이 부분을 클릭하면 아래의 창으로 넘어간다.
이 보안 그룹 ID(sg-02~~~~)를 RDS 보안 그룹의 인바운드로 추가해주면 된다!
💡Database 플러그인 사용
인텔리제이에 Database 플러그인을 설치해서 진행한다.
일단 RDS의 접속 url을 복사해둔다(나중에 필요함)
Database Navigator 플러그인을 설치한 뒤 재실행!
이렇게 database browser가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MySQL 접속 정보를 열어본다.
여기에 내가 생성한 RDS 정보를 등록하면 된다.
여기서 Host에다가는 아까 복사해둔 RDS 엔드포인트를 넣으면 된다
띠용
다행히 나한테만 일어나는 건 아니었다
우측에 있는 Database 클릭하면 우측에 이런 게 뜨는데, '+'를 클릭하여 MariaDB를 선택해주면 된다.
똑같이 Host에다가 RDS 엔드포인트 넣어주고, id/pw 기입해주면 끝!
이렇게 뜨는 걸 보니 잘 된 것 같다.
Jump to Query Console을 들어가면 콘솔창이 뜨는데,
생성된 콘솔창에서 SQL을 실행하면 된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RDS와 EC2 연동 (0) | 2024.02.15 |
---|---|
[스프링부트AWS] RDS 운영환경에 맞는 파라미터 설정하기 (0) | 2024.02.01 |
[스프링부트AWS] RDS 인스턴스 생성하기 (1) | 202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