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당탕탕 개발일지
[스프링부트AWS] RDS 인스턴스 생성하기 본문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관계형 RDS | Amazon Web Services
높은 가용성, 처리량 및 스토리지 확장성을 통해 꾸준히 증가하는 앱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사용량 패턴에 적합한 유연한 종량제 요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aws.amazon.com
RDS는 AWS에서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베이스로,
백업, 용량 조절 등과 같은 운영작업을 자동화해서 편리한 이점이 있다.
AWS에서 RDS를 클릭하고,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클릭한다.
엔진 옵션에는 MySQL, PostgreSQL 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MariaDB를 선택한다
가격적 측면도 있고, 나중에, Amazon Aurora로 교체하기 쉽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Amazon Aurora를 쓰면 좋겠지만 프리티어 대상이 아니라 최저 비용이 월 10만원 이상이라 부담스러워서 일단 MariaDB로 시작한다.
MariaDB
MariaDB는 오픈 소스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MySQL과 동일한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쿼리가 MySQL이랑 비슷하다
템플릿도 프리티어로 선택해준다
식별자 이름 달아주고, 암호도 걸어준다
퍼블릭 액세스를 '예'로 바꿔준다.
이 외에는 그냥 안 건드리면 된다!!
RDS 생성 완료!!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RDS와 EC2 연동 (0) | 2024.02.15 |
---|---|
[스프링부트AWS] 로컬에서 RDS 접속하기 (0) | 2024.02.13 |
[스프링부트AWS] RDS 운영환경에 맞는 파라미터 설정하기 (0) | 202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