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21)
우당탕탕 개발일지

데이터 회원ID, 이름 기능 회원 등록, 조회 추가) 아직 DB가 선정되지 않은 가상의 시나리오 설정이 있다 DB가 아직 선정이 안 되었으니 Memory MemberRepository 사용

API는 서버끼리 통신하는 방법! @ResponseBody 여기서 body는? HTML에서의 body(x) HTTP 통신 프로토콜의 헤더/바디 중 바디를 뜻함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annotation HTTP 응답의 본문(body)를 담아 보내는 역할 사용 흐름 웹 브라우저에서 hello-api 요청하면 내장 톰켓 서버에서 요청을 받아들이고, helloController를 통해 return hello(name:spring). 이 때 @ResponseBody를 통해 http 응답의 본문(body)를 담아 보낸다. 그러면 HttpMessageConverter를 통해 객체를 JSON 형태로 변환해서 HTTP 응답에 반환(객체이면 JsonConverter, 문자열이면 StringCo..

MVC = Model, View, Controller View는 화면 상에서 보여지는 것을 관, Controller는 비즈니스 모델을 관리 hello-template.html의 경로를 복사해서 웹사이트에 붙여넣으면 해당 창이 뜬다. name이 spring!!!!으로 변환되어 반환

정적 컨텐츠와 MVC의 차이 정적 컨텐츠 = static(resources 안에 있는 static 폴더) static 폴더 안에 html을 만들고, 그 html명을 엔드포인트로 만들면 바로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 근데 내용은 고정, 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static 폴더 안에 hello-static.html을 만든 뒤에 "localhost:8080/hello-static.html"을 입력하면 이런 창을 볼 수 있다!

섹션 1-1. 프로젝트 생성 IDE: IntelliJ를 추천 스프링부트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만들어주는 사이트 이용(start.spring.io) Project: Grandle-Groovy Project(라이브러리 및 라이프사이클 관리, 요즘 이거로 씀) Language: Java Spring Boot: 버전 선택, SNAPSHOT(아직 만들고있는 버전), M()(아직 release 안함) Project Metadata: 보통 Group에 기업 도메인이름 넣음, Artifact: 빌드된 결과물(프로젝트명에 해당) Dependencies: 어떤 라이브러리를 땡겨서 쓸 건지, Spring Web과 Thymeleaf(HTML을 만들어주는 템플릿 엔진)을 선택 Generate 버튼을 누르면 다운로드! 압축 풀고 ..

인턴 시작하면서 6월에 알게된 건데, 아직 네이버에는 정보가 없어서 공부할 겸 정리해보는 글 1. Dataverse가 뭐람? Dataverse는 Data+Universe의 합성어로, 연구 데이터를 저장, 공유 및 관리하기 위한 오픈 소스 웹 어플리케이션이다. 왜 하필 "Universe" 단어라고 하면은..평행세계..평행우주..의 개념을 도입해서 그렇다고 한다(들은 바로는 그렇다) 나의 데이터가 다른 사람의 데이터 안에도 들어있고..뭐 그런 복잡한 느낌 Dataverses, Datasets, Files 이렇게 3가지가 있는데 Dataverses = 폴더 Datasets = 폴더 안에 있는 폴더 Files = 파일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굳이 정리해보자면 이런 느낌..? Dataverse 안에 또 다른 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