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21)
우당탕탕 개발일지

맨땅에 헤딩하듯이 스프링을 배우려다가 뭔가 제대로 잘못됨을 깨닫고 JAVA 기초부터 다지는 중이다. JAVA 보면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이 구문을 많이 보게 되는데 이걸 뜯어보려고 한다. 1. public 접근 제한자(public/protected/private/default) 중 하나로, 모두가 접근 가능 2. static 자바는 변수 혹은 함수를 메모리에 할당하는 방법이 2가지 있는데, 그게 바로 static이랑 heap이다. static으로 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시에 메모리에 할당되고, Garbage Collector에 의해 메모리가 정리되지도 않는다. 3. void void는 '함수가 끝났을 때 리턴값이 없다'는 의미이다. 4. Strin..

1. 접근 제한자(Access Modifier)가 필요한 이유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를 다른 패키지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기 위함이다. 2. 접근 제한자(Access Modifier) 종류 - public: 누구나 사용 가능 - protected: 같은 패키지 혹은 자식 클래스에서 사용 가능 - private: 자신만 사용 가능 - default: 셋 중 아무것도 없을 때, 같은 패키지에 소속된 클래스만 사용 가능 이렇게 default의 경우, 즉 class만 쓰는 경우 다른 패키지에서는 사용 불가능이다. 3. 추가 내용 - main 함수는 기본이 되는 함수이기 때문에 접근 제한자가 반드시 public이어야 한다.
while(1)에서 1은 True를 의미한다. 따라서 while(1)은 무한루프를 의미하고, 중간에 조건을 사용해서 해당 조건에 부합하면 break;한다는 문장을 한 줄 넣어주면 된다

1. 형식 switch (조건) { case 값1: //수행할 문장 break; case 값2: //수행할 문장 break; case 값3: //수행할 문장 break; default: //어떤 값도 해당하지 않을 때 수행할 문장 2. 예

1. 난수 생성에 필요한 전처리기 지시문 #include #include 2. 형식 rand() %어떤 수 여기서 어떤 수는 '뽑고 싶은 숫자의 범위'를 뜻한다. 예를 들어 rand() %3이면 0,1,2 중에서 하나 선택 3. 주의할 점 난수를 뽑을 때에는 항상 초기화해줘야 함 srand(time(NULL));해서 난수를 초기화해줘야지 안 그러면 rand() %n이 계속 같은 수를 뽑음. 4. 예시